본문 바로가기
상담치료

음악치료사 소개 및 전공과목

by m치료사 2023. 1. 17.
반응형

음악치료사 직업 소개와 치료사가 어떤 일을 주로 하고 있는지 그리고 음악치료사가 되기 위한 필수과정과 자격증에 대해 소개합니다.



음악치료사 직업 소개

우리가 몸이 아프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게 됩니다. 음악치료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치료 목적으로 진행이 됩니다. 음악치료의 사전적 의미는 전문 훈련을 받은 음악치료사와 내담자, 즉 클라이언트의 음악적 역동적 상호 관계를 통해 정신적, 신체적 건강 향상을 도모하는 체계적인 임상 기법입니다. 음악치료사가 되려면 음악치료 학사, 석사, 박사 등 정규 교육과정을 거쳐 학위를 취득한 이후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학사가 개설된 곳은 사이버대학교 밖에 없고, 음악치료 석사 대학원은 1997년 숙명여자대학교를 시작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명지대학교, 한세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등에 있으며 1학기와 2학기 서류전형과 면접으로 학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음악 기술을 확인하는 피아노 또는 기타 연주와, 학업계획서와 인터뷰 면접으로 진행됩니다. 음악치료사의 국가공인 자격시험은 존재하지 않지만 한국음악치료학회와 전국음악치료사협회에서 발급되는 '임상 음악 전문가' 또는 '음악 중재 전문가' 자격증이 제일 공신력 있는 민간 자격증으로 그 외에 온라인 교육 등을 통해서도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음악치료사는 어떻게 일하는가

음악치료사는 '음악'을 매개체로 치료를 진행합니다. 내담자가 음악을 듣거나 악기로 표현하며 자신의 정신적 심리 상태를 표출하도록 합니다. 그래서 제일 처음 음악치료사는 이런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진단 및 평가를 내리게 됩니다. 이 진단 결과에 따라 치료방법을 고려하고 보호자와의 상담으로 지속적인 치료를 도모하도록 치료진보기록 문서로 남깁니다. 음악치료사는 내담자의 필요에 맞는 다양한 수준의 기술과 대인관계적 또는 정서적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음악치료 안에서 사용되는 기법으로는 노래 부르기, 송라이팅 혹은 작곡하기, 악기 연주에서도 즉흥연주, 재창조 연주, 자유 연주가 있으며 음악 감상과 음악과 심상(GIM: Guided Imagery and Music)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음악치료의 대상은 어린 영유아부터 노인까지, 비장애인과 장애인, 정신과 환자, 치매환자 및 치매 예방이 필요한 사람, 신체적 재활이 필요한 사람, 발달장애 등 남녀노소 음악치료가 필요한 사람은 치료 목적에 맞추어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음악치료는 1:1 개별치료와 그룹치료로도 진행이 되고 대면 치료뿐 아니라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며 언택트 치료와 접목하여 zoom 등 웨비나 비디오 회의를 통한 비대면 치료도 가능합니다.

음악치료 과목 - 장애아동 상담이론: 정신분석 상담과 개인 심리학적 상담

 다음은 장애아동 상담의 기초가 되는 상담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정신분석 상담(Psychoanalytic Approach)는 프로이트, 아브라함 등의 학자들의 이론을 장에 애 적용합니다. 특히 자기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에는 억압, 억제, 승화, 합리화, 감정 전이, 치환, 퇴행, 도피, 동일시, 섭취, 투영, 반동 형성, 보상, 신체상이 있다. 상담 목적은 무의식적인 갈등을 의식화시키고, 복잡한 감정을 재생시키고 억압된 감정을 해결하는 것입니다. 상담은 초기와 중기 단계에 적용되며 자유 연상과 해석, 꿈 분석, 저항의 분석과 해석 등의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기법은 개인 심리학적 상담(Individual Approach)으로 아들러(Alfred Adler)가 대표적인 인물로 열등감(inferiority fellings), 보상(compensation), 우월성 추구(striving for superiority), 생활양식(life-style)이 개인 심리학적 상담의 핵심 개념입니다. 상담 목표는 열등감 감소와 잘못된 자기 지각을 교정하고 새로운 생의 목적을 갖도록 하는 것입니다. 인생의 목적, 자아 개념, 사고방식을 수정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고 심리적응 단계의 우울 반응이나 내재화 단계인 상담 초기 단계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개인 심리학적 상담에서는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내담자와의 관계 형성과 유지단계, 내담자의 생활양식 조사와 이해 단계, 내담자의 생활양식 해석 단계, 내담자의 재교육 단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상담기법은 일반 상담 기술, 언어적 기술, 격려하기, 행동적 기술(역할놀이, 빈 의자 기법), 시범 보이기, 가상 행동 (as if 기법), 역설적 의도, 상상하기, 포착하기, 초인종 누르기, 침 뱉기, 과제 설정하기가 있습니다. 

반응형